[파스타(Pasta) 앱] 리포트 탭, 쉽게 이해하기 (아이폰 기준)

파스타(앱) 사용법 ::

리포트(탭)

지표 이해하기

아이폰 기준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사용하면 나오는 지표들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CGM에는 BGM과는 다른 지표들이 꽤 있습니다. 매우 중요한 지표지만, 처음 사용하는 이들에게 해당 지표는 다소 어렵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이에 중요한 지표들을 조금이라도 쉽게(리터러시 해소), 어려워도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서 학습할 수 있도록 리포트 탭을 구성하였습니다.

파스타의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은 리포트탭 구성은 현재 다릅니다.

곧 안드로이드 화면과 동일하게 변경될 예정입니다. 한시적으로 아이폰용의 리포트탭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포트(탭) 메뉴 구성, 화면 구성

1. 앱 하단의 두번째 메뉴인 리포트 탭 > 클릭하면 만날 수 있는 화면입니다.

1) 착용 첫날에 해당 지표는 비어 있습니다 : 2일차 부터 리포트 생성

2) 혈당관리지표(GMI : Glucose Management Indicator)는 예상당화혈색소로 불리기도 하며, 5일차에 생성

2. CGM착용 이후 나타나는 AGP보고서의 주요 메뉴를 변형하였습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세부 메뉴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AGP 보고서 다운 받기 : 기기 사용 완료이후에 다운 받으세요

리포트탭 상단 우측위의 AGP를 클릭하면 됩니다. 착용이 완료되면 알림도 자동으로 발송됩니다.

AGP 보고서는 CGM을 착용하면 볼 수 있는 특별한 보고서 입니다.

AGP는 굳이 한국어로 번역하면 '외래혈당프로필'인데 영어로는 Ambulatory Glucose Profile이라고 부릅니다.

TIR, 혈당변동성 지표(평균혈당, GV, CV, GMI 등), 일별 평균 혈당 등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족 - AGP는 CGM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기본 AGP에 특허사용료를 내야합니다. 기관 기업 모두에 해당됩니다.] 국제 특허가 있으며,

카카오헬스케어는 특허를 가지고 있는 AGPorg로부터 특허 사용료를 내고 사용중에 있습니다. 공식홈페이지에서 카카오헬스케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 그리고 오해하지 마세요. 아이센스도 특허사용료 냈고, 다만 등재 프로세스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GP 사용에 대한 특허를 가진 AGP org : >

홈페이지 - 파트너 리스트, KHC 등록

ㅇ 파스타 앱에서 센서를 착용하고 난 이후, AGP 보고서를 다운 받아 보세요. 중간에도 받을 수 있지만 조금은 더 정확하게 보거나, 전 회차와 비교하기에 좋습니다.

ㅇ 리포트 탭 클릭 > 우측 상단 AGP 보고서를 클릭하시면 1장짜리가 바로 팝업됩니다.

<차수 선택 : 저는 착용이 완료된 1회차를 선택>

AGP 보고서 예 : 해당 보고서가 리포트탭에 쉽게 설명되어 있어요

**** AGP 보고서는 별도로 설명하겠습니다. ****

2. 주요 지표

- 평균 혈당(1일 100mg/dL 미만 권고)

* 만약 혈당을 당화혈색소로 계산하는 산술식이 궁금하시면 이곳을 클릭해서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 혈당변동성(36% 미만 권고)

현재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건강검진에서 CV와 관련해서는 36% 이하를 지킬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물론 당뇨병전단계와 당뇨병 사이의 그 기준도 있을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 합의가 나온 지점이 없어서 36%를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 목표 범위 내 비율(Time in Range) _ 70~180mg/dL 범위, 70% 이상 유지 권고

사용기간, 전일의 혈당값이 학계에서 정한 기준인 70~180 사이에 얼마나 머물렀는가?를 보는 지표입니다.

당뇨환자의 경우는 180~250, 250 이상도 각각 25% 5% 유지, 54~69는 4%미만, 54 이하는 1%미만을 유지할 것을 권고합니다. 실제 의사별로 경험치에 따라 목표치를 따로 정하기도 합니다.

3 주요 지표 - 혈당관리지표(Glucose Management Indicator) _ 70~180mg/dL 범위내에 70% 이상 유지 권고

병원에서는 혈당관리지표 GMI를 7% 이하로 관리할 것을 추정합니다.

종종 "예상당화혈색소"라고 불리우며, 실제 당화혈색소보다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I는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미래의 당화혈색소가 좋아지고 있다, 나빠지고 있다를 추정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꾸준히 관리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 GMI < 실제 당화혈색소 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GMI는 추정 산술식이 존재하는데, 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고정 상수와 평균혈당을 넣어 계산됩니다. 차수가 증가할 수록 전차수를 비교함으로서 진행 상태를 더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Formula to calculate GMI:

GMI(%) = 3.31 + 0.02392 x [mean glucose in mg/dL]

GMI(mmol/mol) = 12.71 + 4.70587 x [mean glucose in mmol/L]

https://www.jaeb.org/gmi/

6. 주요 지표 - 혈당 하이라이트(Glucose Highlight) 착용 기간 동안의 혈당변동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압축한 그래프 - TIR과 동일하게 관리 권고

가능하면 70~180 범위를 유지하고, 가장 위험한 저혈당은 경계가 필요합니다.

7. 혈당상승 Top 5 음식 리스트 제공

<혹시 IOS(현재 부족한 기능) 사용자나, 더 세부적으로 보고자 한다면 파스타커넥트에 접속하시면 더 세부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것들을 추가로 볼 수 있느냐?

첫째, 식사 패턴(시간대별 전체 현황), 한끼당 섭취 칼로리 등

둘째, 기록한 모든 식사의 혈당 반응을 한눈에 - 쉽게 나만의 GI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셋째, 메뉴를 클릭하면 영양정보 혈당반응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