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사설수리 확인 부품 교체 이력 조회 (ft. 액정 배터리 카메라 )

"중고 거래를 했는데 페이스 아이디가 안 된다?", "중고 거래를 하고 싶은데 확실하게 확인하고 싶다?" 이번 포스팅은 이와 관련하여 아이폰 사설수리 확인 방법을 소개해 보려고 한다. 액정, 배터리, 카메라, 메인보드 교체 이력이 있는지 쉽게 체크해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알고 있었으면 좋겠다

  • [jd

    3utools 프로그램 활용하기

    3utools 프로그램 활용하기

  • [jd

    아이폰 자체에서 확인하기

    아이폰 자체에서 확인하기

    아이폰 사설수리

    중고 마켓을 보면 "페이스 아이디, 트루톤 안 되는 아이폰 팔아요"라는 글을 쉽게 볼 수 있다. 액정, 배터리, 카메라를 사설수리할 경우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이다.

  • [jd

    페이스 아이디 안 됨

    페이스 아이디 안 됨

  • [jd

    트루톤 설정 불가

    트루톤 설정 불가

    개인 업체에 맡길 경우 가품은 물론이고 정품 부품으로 교체해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유는 공장에서 처음 나올 때 액정, 배터리, 카메라, 메인보드 등의 일련번호가 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사설수리 과정에서 그 연결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식 서비스는 알아서 잘 연결해 준다.

    사설수리 확인 방법

    이러한 부품 교체 이력을 쉽게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3utools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다. 윈도우 PC와 케이블 그리고 아이폰만 있으면 된다. 우선 아래의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자. 굉장히 유명한 프로그램이니 믿어도 된다.

    설치를 완료해 주었다면 케이블을 활용하여 윈도우 PC와 아이폰을 연결해 주자. 그럼 아래와 같이 '신뢰'를 누를 수 있는 팝업창이 나올 거다. 이어서 비밀번호까지 입력해 주면 된다. 혹시 안 된다면 정품 케이블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어서 개인용 핫스팟까지 비활성화해주면 된다. 프로그램을 실행했다면 자동으로 들어가질 텐데, 아니라면 '설정-셀룰러'로 접속하여 직접 지정해 주자.

    아래와 같이 3utools 화면이 나온다면 이제 복잡한 것은 다 끝났다. 현재 사용하는 아이폰의 일련번호 등의 정보는 물론이고 배터리 수명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항목 중에 우리는 'Verification Report' 메뉴를 눌러주면 된다. 이곳을 통해 처음 공장에서 나올 때의 부품의 일련번호와 현재 부품의 일련번호를 대조하여 교체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12 미니 제품인데 공장에서 출시될 때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부품의 일련번호가 모두 동일하다. 사설 교체가 되었다면 'may be changed', 'Abnormal' 등의 빨간색, 주황색 글자가 표시된다.

    애플 공식 수리를 받은 경우에는 노란색 글자로 'Apple Replaced Device'로 표시된다.

    위를 보면 알 수 있듯 디스플레이는 교체 이력은 조회할 수 없다. 'Screen Serial Number'에서 'User decision needed'라고 표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한 가지 더 있다. iOS 15.2 이상에서 지원되는 부품 및 서비스 기록 기능이다.

    아이폰 자체에서 확인하기

    iOS 15.2 이후 버전이라면 부품 교체 이력을 쉽게 조회할 수 있다. 다만, 모델에 따라 조회 범위가 조금 다르다. 12 시리즈 이후라면 주요 기록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jd

    XR, XS, SE 2세대 : 배터리

    XR, XS, SE 2세대 : 배터리

  • [jd

    11 : 배터리, 디스플레이

    11 : 배터리, 디스플레이

  • [jd

    12 이후 : 배터리, 디스플레이, 카메라

    12 이후 : 배터리, 디스플레이, 카메라

    방법은 간단하다. '설정 - 일반 - 정보'로 접속하여 일련번호 아래를 확인해 보면 된다. 교체 기록이 없는 경우 필자와 같이 표시 자체가 안 된다. 이와 달리 사설이든 공식이든 교체 이력이 있으면 '부품 및 서비스 기록'이라고 표시가 된다.

    중고로 살 때 이런 제품을 사야 한다.

    메뉴가 나온다면 공식, 사설을 구분할 수 있다. 애플 공식 서비스 센터에서 수리를 받은 경우'Apple 정품 부품'이라고 표시가 된다. 이와 다르게 가품이나 리퍼, 고장 난 경우 '알 수 없는 부품'이라고 표시된다. 사설수리를 받았을 확률이 99%인 것이다.

  • [jd

    Apple 정품 부품 : 공식

    Apple 정품 부품 : 공식

  • [jd

    알 수 없는 부품 : 가품, 리퍼, 고장

    알 수 없는 부품 : 가품, 리퍼, 고장

    사설수리는 피하자

    필자의 포스팅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점점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늘어나고 있다. 구매자가 피해 보는 것은 물론이고 판매자 역시 중고 가격이 크게 내려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사설수리를 받은 경우 애플 공식 서비스도 못 받을 수도 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지인에게 공유해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