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4 자급제폰 어떻게 사야 후회없을까? 특징 정리!

KYJ

아이폰14 자급제폰 알아보시는 분들

모두 반갑습니다.

자급제폰과 통신사폰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자급제폰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통신사폰을 구입하면 약정을 걸고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급제는 할인을 받지는 못하지만

무약정으로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위약금 걱정이 없다는 거죠.

자급제폰은 쉽게 말해 공기계입니다.

통신사 개통 이력이 없는

온전한 새 단말기라는 것이

일반적인 중고 공기계와의 차이점입니다.

아이폰14 자급제폰은 애플 공식 스토어

혹은 오프라인 전자기기 매장 등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쿠X, 위메X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구입할 수 있는데요.

이런 공기계를 산 다음

원래 사용하던 휴대폰의 유심을 빼서

바로 끼워넣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새로 약정을 걸고 개통하는 게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이런 방법으로 유심기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론 SKT, KT, LG 유플러스 등

기존 통신 3사 외에 다른 통신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아이폰14 자급제폰을 구입하는 분들은

알뜰통신사로 많이 옮기곤 합니다.

SKT, KT, LG 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계열사도 있으니

이런 곳을 알아보고 이용하셔도 좋고,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온

알뜰통신사를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프로모션 혜택을 제공하는 요금제도 있으니

내용과 기간 등을 꼼꼼하게 살피고

비교하여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급제를 사서 좋은 점은

일단 약정을 걸지 않아도 된다는 겁니다.

통신사폰은 일단 통신사 약정을

기본적으로 걸어야 합니다.

2년 혹은 정해진 기간동안

휴대폰을 사용하겠다고 약속을 하는 거죠.

만약 이 약정을 지키지 않고

약정기간 만료 전 다른 스마트폰으로

바꾼다면 위약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부담이 있긴 하지만

일단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약정을 거는 대신 받는 할인이 있습니다.

공시지원금 or 선택약정인데요.

공시지원금 = 단말기값 할인

선택약정 = 월 25% 요금 할인

둘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폰의 경우 지원금이

많이 나오지는 않는 편이라

선택약정을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택약정은 25% 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로

매월 25%면 꽤 쏠쏠합니다.

8만원대 요금제도 6만원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니까요.

여기서 중요한 점

아이폰14 자급제폰을 사면

선택약정에 가입할 수 없다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폰14를 자급제로 사더라도

무조건 알뜰통신사만 써야되는 건 아닙니다.

기존 이동통신 3사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선택약정 가입도 가능합니다.

애초에 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사용자에게도

혜택을 주고자 만든 것이 선택약정 제도이므로

만약 자급제를 구입한 상황인데

선택약정 혜택을 받고 싶다면

원하는 통신사를 통해 가입하면 됩니다.

다만 선택약정도 결국 '약정'이니

기간을 지키지 못하고 번호이동하거나

해지할 경우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이런 위약금 부담이 싫어서

자급제를 선택하는 분들이 많은 것인데..

굳이 약정을 걸고 구입할 거라면

자급제가 아닌, 선택약정 외에

다른 기기값 혜택까지 추가로 제공하는

성지를 통해 구입하는 것이 차라리 낫죠.

성지에서는 30~50만원 이상이 지원금도

추가 제공하기 때문에 아이폰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요.

기기값을 좀 더 비싸게 주고 사더라도

무약정으로 알뜰통신사에서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하고 싶다 하는 분들은

아이폰14 자급제를 사는 게 낫습니다.

이런분들은 굳이 성지 구입을

알아보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이동통신 3사를 이용할 생각이고

(보통 결합이나 서비스를 이유로 통신 3사를 씁니다.)

약정을 걸더라도 기기값 할인을

최대한 받는 게 목적이라면

성지를 알아보고 사는 것이 좋습니다.

성지에서는 30~70만원까지 보조금을 제공하여

좀 더 저렴하게 휴대폰을 살 수 있습니다.

아이폰14 같은 최신 기종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 핸드폰 판매수당이 30~70만원 정도 되는데, 이 수당의 대부분을 고객에게 주는 곳이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휴대폰 매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판매량이 적은 곳은...

cafe.korea-iphone.com

얼마에 구입할 수 있는지

성지의 시세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어디서 살 수 있는지 성지의 좌표도

지역별로 정리해서 공유하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