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케어플러스 가입방법 및 아이폰 기준 가격 및 본인 부담금

요즘 출시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내구성이 강해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뜻하지 않은 실수로 파손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요. 특히 젊은층에서 애플케어플러스 혜택을 더 많이 받고 있다고 하니, 그만큼 활동적인 시간을 많이 보내고 있다는 뜻이겠죠.

그럼 가입방법과 금액은 얼마나 드는지... 혜택 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중급기 정도의 아이폰이라면 100만원 미만이겠지만 플래그십 모델은 200만원에 육박하고,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장 시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낄 수 있는게 사설 수리센터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즉, 수리 시 공인 서비스 센터와 사설... 이렇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고, 두 곳 모두 일장일단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참고로 AppleCare에 가입하지 않아도 보증기간 동안 보장받을 수 있는 예외도 있으니 이 또한 마무리 글로 정리해 보도록 하죠.

애플케어 플러스 가입방법은...

만약 핸드폰을 험하게 사용하는 분들이고, 최고 사향의 아이폰을 구입하는 분들이라면 꼭 가입해야 합니다.라고 단정 짓고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물론 중급기의 제품들이라 하여 예외를 둘 수는 없으니, 본인의 성향에 따라 판단하셔야 겠습니다.

가입 방법 중 가장 편한 방법은 구입하면서 애플케어 서비스를 가입하는 것인데, 놓치신 분들이라면 사용 후 앱을 통해 가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아이폰뿐만 아니라 맥이나 아이패드 등 애플 제품 모두 가능하며 가입 금액은 디바이스마다 차등되어 있고, 오늘은 아이폰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해 보도록 하죠.

보증기간은 최대 2년으로 하며 우발적인 손상에 대해 횟수 제한 없이 보장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아이폰 화면이나 후면 글래스의 경우 40.000원 / 우발적 손상은 120.000원의 본인 부담금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2년은 본인이 최초 보험을 구입한 날짜부터입니다.

여기서 잠깐 생각해 볼 문제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디바이스 구입 후 60일 이내에 가입하면 두달간 늘어날 것이란 생각을 하시는데요.

그전에 파손이 나면 가입이 어려워지거나... 까먹고 시간이 지나 가입을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즉, 60일 전에 애플케어를 가입하기 위해서는 검사 및 구입 증명이 필요하게 되니 꼭 기억하세요.

만약 디바이스를 구입하면서 가입하지 못한 분들이라면 앱 혹은 전화를 통해 할 수 있는데 전화가 다소 편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는 080-333-4000 입니다.

앱을 설치해 가입하는 분들은 하단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위에 링크를 클릭하시면 하단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고, 이곳에서 가입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애플 제품이 보증기간이 남아있는지도 알 수 있으니 한번쯤 체크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ppleCare+ 가입하려면 서둘러야...

하단 사진에 보이는 가격은 애플에서 2023년 3월 28일까지의 가격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그 후에는 대폭 상향 조정되니, 빠르게 서두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14 플러스를 뺀 전 기종의 경우 296.000원이며, 플러스의 경우 230.000원입니다.

SE3의 경우 98.000원이니 참고하세요.

결정은 빠르게 하셔야 하는데요.

글 머리에서 말씀드렸던 보증기간과 어떤 품목에 대한 것인지... 잠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디바이스의 보증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는 아이폰뿐만 아니라 내 계정으로 등록된 모든 애플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위에 링크를 드린 애플케어 앱을 설치하고 앱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만약 보증기간 2년 안에 제조상의 결함이 발생된다면 무조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공인 수리센터에 방문해 엔지니어에게 진단을 받으면 쉽게 해결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제품을 구입하고 10일 이내 결함이 발견된다면 무조건 새제품 혹은 환불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참고하셔서 10일 내 최대한 많은 기능을 다 사용해 보면서 확인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단, 배터리의 경우 보증기간을 1년으로 하고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

만약 지금 시점에서 1년이 안된 분들이라면 배터리 성능 최대치를 확인하고 현저히 낮다... 라고 생각되는 분들은 빠르게 센터를 찾아가시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애플케어 플러스 가입을 하지 않은 분들, 혹은 가입한 분들에게 공식 혹은 사설 센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잠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ppleCare에 가입한 분들이라도 무한사과가 나타나는 경우 공인수리센터의 경우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리퍼 제품으로 교환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아 모든 데이터를 날려야 할 경우라면 사설수리센터를 찾아가 복구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을 찾을 때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은 정품 사용 확인서 및 배상받을 수 있는지도 확인하셔야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애플케어 플러스 가입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지금도 고민 중이라면 3월28일 이전에 꼭 가입하셔서 금전적 혜택을 받으셨으면 좋겠고, 만약 시기를 놓치신 분들이라면 보호필름 및 범퍼케이스를 사용하면서 조심히 다루는 것 밖에 조언 드릴 수 있는 게 전부인게 아쉽습니다.

또한 가입한 분들 중 아이폰 외 다른 디바이스도 참고하셔야 하는데요.

부품 결함 혹은 방수 결함의 제품이 가끔 접수되며 엔지니어의 판독으로 보상받는 분들이 계시다는 겁니다.

즉, 본인이 판단하지 마시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을 경우 보증기간 내 꼭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