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비행기모드 카톡 전화 알람 문자 와이파이 블루투스
비행기모드 란,
비행기모드 란, 안전한 이륙과 착륙을 위해서 전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핸드폰이나 노트북 등 자체 모뎀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기능에 해당합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전파가 발생합니다.
이런 전파는 에어플레인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모드를 만들어서 일시적으로 모든 네트워크 기능을 비활성화로 만들어주는 기능에 해당합니다.
카톡과 문자가 가능한 이유
아이폰 비행기모드는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요. 가끔 모든 연락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을 때 에어플레인을 활성화시키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끊어지면서 핸드폰이 꺼지는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통신이 일시 정지되기 때문에 카톡, 전화, 알람, 문자 등이 모두 일시 정지가 되는 걸로 이해를 할 수 있는데요. 실은 와이파이 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WIFI ON 모드
아이폰 비행기모드를 설정을 하더라도 기지국과 통신하는 데이터만 끊어지며 와이파이는 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가 ON 상태로 유지가 되어 있다면 데이터로 통신하는 카톡이나 iPhone 끼리 아이메시지로 동작하는 문자 알람 등을 그대로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완전한 에어플레인 모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와이파이까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Wi Fi가 켜져 있는 상태라면 기지국 데이터 통신은 멈추지만 Wi Fi를 통해서 지속 카톡이나 아이메시지 같은 알람은 지속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전화는 안 되는 이유
전화는 되지 않습니다. 전화의 경우 유심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달이 되기 때문에 Airplane Mode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모든 데이터 통신이 원천 차단되기 때문에 내가 전화를 걸거나 상대방에 나에게 연락을 했을 때 연락이 되지 않은 안내 멘트만 들을 수 있습니다.
애플끼리는 문자 알람이 울린다
에어플레인 상태에서 문자도 아이폰과 갤럭시 같은 안드로이드 단말기 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에어플레인이 활성화되어 있고 와이파이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어떤 문자 송수신 알람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Wi Fi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iPhone끼리는 문자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유는 iPhone 끼리는 iMessage를 이용해서 기지국의 네트워크 데이터가 아닌 일반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iPhone에서 갤럭시 같은 안드로이드로 보내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 통하기 때문에 Wi Fi가 켜져 있어도 송수신은 되지 않습니다.
블루투스 사용 가능할까?
아이폰 비행기모드 블루투스 사용 여부는 어떨까요? 에어플레인 상태라 하더라도 블루투스 기능은 유저가 직접 OFF와 ON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어플레인으로 설정하더라도 Wi FI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것처럼 블루투스 역시 사용자가 직접 켜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어플레인 상태에서 BT를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 동영상 참고하세요.
다시 정리를 해보면 Wi FI 상태에 따라서 사용 여부가 달라지는데요. 일반 전화의 경우에는 에어플레인 상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 알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기지국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차단이 되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습니다. 문자의 경우 상대방이 아이폰이라면 와이파이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송수신 알람이 발생합니다.
카톡 역시 와이파이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비행기 모드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에어플레인으로 설정하더라도 블루투스 기능은 사용할 수 있으니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이나 음원들을 무선 이어폰과 연결해서 사용도 가능합니다.
iPhone 핫스팟 사용 방법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해 보세요.
스마트폰이 하나의 AP처럼 동작해서 외부에서도 5G 또는 LTE 모뎀이 없는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
blog.korea-ipho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