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6 디자인 바뀌나 미니 가능성 출시일 예상변화

아이폰16 디자인 변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서 벌써부터 차기작과 관련 된 루머들이 꽤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정해진 타이밍이 있고 애플은 비슷한 시점에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서 아이폰16 출시일은 어느정도 예상해볼 수 있는데 아이폰 16 디자인이나 특징 등의 변화는 사실상 지금부터 단정짓긴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려온 소식 중에서 디자인의 변화를 예고하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현재 디스플레이에서 적용된 알약 모양이 사라지고 완벽한 카메라 홀만 남을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죠. 진정한 펀치홀 디자인이 구현되는 것인데 이로 인해서 다이내믹 아일랜드 디자인 또한 이에 맞춰 바꿔질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최소한의 홀만으로 디자인이 바뀐다면 그만큼 화면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니 모델에 대한 기대감도 은근 있지만 사실상 성능이 좋아지는 만큼 아이폰16 미니 시리즈는 등장할 가능성이 높지 않은데 더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에서 사용해야 할 AP를 굳이 낮은 크기에서 사용할필요도 없고 지난 출시 때 컴팩트한 모델의 반응을 봤던 상황이라 컴팩트 라인업은 아이폰 SE4 시리즈로 이어나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 이번 15시리즈에서는 액션버튼이 포함되었는데요. 아이폰16 프로 시리즈에도 액션버튼은 존재하는데 우측에 추가적으로 버튼이 하나 더 생길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죠. 이 버튼은 물리 버튼 대신 정전식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기술을 위해 초고주파 안테나 위치를 우측이 아닌 좌측으로 재배치할 것이라고 설명했고 정전식 방식의 솔리드 스테이트 기술이 적용되는 형태입니다.,

특히 아이폰의 좌측에 있는 액션 버튼과 하단에 있는 볼륨키와 전원 키는 별도의 변경이 없이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좌측에 있는 액션 버튼 또한 터치 형태의 솔리드 스테이트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이죠.

솔리드 스테이트 기술은 물리적으로 딸깍 거림의 버튼이 아닌 손가락으로 살짝 만졌을 때 동장하는 형로 볼 수 있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아이폰8 시리즈 등에 있는 홈버튼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네요. 이버튼의 용도가 정확하게 확정된 것은 없는데 내부적으로는 캡처 버튼으로 불리긴 하지만 이 버튼은 카메라를 세로로 그립 해서 촬영할 때 오른손 검지 손가락으로 쉽게 터치 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촬영 버튼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아이폰16 프로 또는 울트라 모델은 카메라가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보이는데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망원렌즈를 탑재하는 것으로 프로 모델의 망원 렌즈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공급업체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황이라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 더 얇고 가볍고 광학 줌 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은 고민하고 있지 않나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애플의 특징이 무조건 망원렌즈의 줌을 개선하는게 아니라 손떨림 등을 고려해서 최적의 망원 카메라로 단계씩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런 변화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고 망원에서의 AF 개선과 화질 개선까지 포함하지 않을까 생각되고 또, 센서의 크기라든지 잠만경 카메라 활용 등 기존에 겪지 못했던 큰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그리고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열을 막기위해 새로운 발열 시스템도 도입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그래핀 열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 일환으로 프로 시리즈의 배터리도 금속소재로 교체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이폰16 출시일은 올해처럼 9월 발표 후 10월 초 국내 들어올 가능성이 높은데 이번 티타늄 시리즈의 만족도가 워낙 높은 상황이라 새로운 모델을 기다리는 것보다는 지금 바로 사용하는것이 차라리 더 낳고 iOS18 업데이트가 되면 소프트 웨어적으로 기능추가가 있어 또 다른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점에서 장점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