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5 무음모드 진동 설정 방법은?
아이폰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알림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진동, 무음, 소리 세가지인데 집에서는 보통 소리모드로 사용하는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사무실에서는 진동이나 무음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애플워치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모음모드로 해두어도 전화나 문자를 놓치지 않을 수 있어서 하루종일 무음모드로 해두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아이폰은 진동, 무음, 소리 세가지를 어떻게 변경할 수 있을지 정리해봤다.
아이폰 15 무음모드 설정 방법은?
아이폰 15부터는 기존에 똑딱이 스위치에서 액션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에 똑딱이 스위치가 사용하다보면 칠 까짐이 있고 케이스를 꼈다고 뺄 때마다 거슬려서 별로라고 생각했었는데, 볼륨 업/다운 버튼과 같은 색 같은 디자인으로 변경되어 깔끔한 느낌을 주는 것 같다.
기본 설정은 이 버튼으로 무음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액션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액션 버튼에 설정돼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기본 세팅은 무음모드로 세팅되어있고, 무음모드 상태에서 한 번더 눌러주면 소리모드로 변경된다.
이 액션 버튼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데, 설정 - 동작버튼에서 다른 기능으로 변경해 활용할 수 있다.
모음모드부터 손전등까지 다양한 옵션이 있으니 마음에 드는 것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선택해 사용하면 된다.
아이폰 15 진동모드 설정 방법은?
진동모드도 많이 사용할 것 같다. 나는 진동모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편이라 따로 항상 울리지 않게 설정해두고 사용하는데, 만약 사용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설정 - 사운드 및 햅틱에서 설정 가능하다.
사운드 및 햅틱 메뉴에 들어가보면 햅틱 설정을 할 수 있는데, 항상 재생부터 다시 재생하지 않기까지 4가지 옵션 중 원하는 것으로 선택해 사용하면 된다. 아이폰에서는 진동을 햅틱이라고 이야기하는데 항상 재생하면 모든 알림이 진동으로 오게되고 다시 재생하지 않기로 설정하면 항상 진동이 울리지 않게 된다. 필요에 따라 세팅해 사용하면 된다.
오늘은 액션버튼을 통한 소리, 모음모드 전환 방법과 햅틱 메뉴를 통한 진동 설정하는 방법까지 알아왔다. 용도에 따라 잘 설정해서 사용하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