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 장단점과 구입 정보
kyj

아이폰 14 시리즈부터 미니 라인업이
더 이상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2020년 처음 나온 미니 모델은
디스플레이 5.4인치인 제품으로
6.1인치인 기본 아이폰 모델에 비해
약 0.7인치 작게 제작됐습니다.
다만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6인치 미만의 미니 모델 수요가
점점 줄어들었어요.
따라서 판매량이 줄었고 결국 단종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출시된 15 시리즈에도
역시나 미니 모델이 없었기 때문에
6인치 미만의 작고 가벼운 스마트폰을 찾는다면
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를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큰 화면의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요즘 분위기에서
미니가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미니를 사고 싶다면 지금이라도 빠르게
알아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겠죠.
13 시리즈 정도면 15 시리즈가 출시된 지금도
무난하게 사용 가능한 성능을 제공하고 있고
카메라도 괜찮은 제품입니다.

아이폰 se3 역시 5인치 미만의 작은 스마트폰이라
구입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SE는 어디까지나 보급형 제품으로
미니와는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4.7인치 화면을 탑재했고
Retina HD 디스플레이로
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에 비해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모바일 AP는 아이폰 13과 동일한
A15 바이오닉 칩셋을 탑재했지만,
그것을 제외한 전반적인 디자인이나
카메라 스펙은 아이폰8에서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죠.

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와
SE 3세대를 비교해보면..
일단 화면 크기는 SE3 4.7인치
13 미니 5.4인치로 미니가 더 큽니다.
기기 크기 자체는 미니가 더 작지만
SE의 경우 베젤이 두껍고 홈버튼이 있어
화면 크기가 더 작습니다.
대신 노치가 없지만
테두리가 차지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베젤이 얇은 스마트폰을 썼던 분들은
SE가 확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카메라 역시 SE는 1200만 화소
싱글 카메라를 탑재했고
미니는 1200만 화소 듀얼 카메라를
탑재했습니다.
배터리 성능의 경우에도
SE 동영상 재생 최대 15시간
오디오 재생 최대 50시간
미니 동영상 재생 최대 17시간
오디오 재생 최대 55시간으로
미니가 더 오래가고요.
디스플레이 성능도 일단 SE는
Liquid Retina 액정,
미니는 Super Retina XDR
OLED 디스플레이로 더 좋습니다.

전면 카메라는 SE 700만 화소
미니 1200만 화소
미니만 2배 광학 줌아웃을 지원하고
시네마틱모드나 야간모드 등의
중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아이폰을 찾는다면,
SE보다는 아이폰 13 미니를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가격 부담을 느껴서
일부러 보급형 제품을 선택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미니는 출시 후 시간이 꽤 흐른 제품이라서
지금은 아주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 구입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알아보는 부분이
바로 '기기값'일 텐데요.
일단 자급제의 경우 공시지원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구입하는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쿠폰이나 할인을 잘 비교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는
카드를 이용해서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아이폰 13 미니 256 자급제의 경우
약 70~80만원 선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데요~
출시 당시보다야 줄어들었지만,
아무래도 한번에 다 내기엔 부담스러운 가격이라
고민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만약 꼭 자급제가 아니어도 된다면,
통신사 지원금 / 성지 보조금을 지원받고
좀 더 저렴하게 사는 방법이 있긴 해요.

성지에서는 50만원 이상 지원금을 제공하여
보다 저렴하게 스마트폰을 구입할 수 있어요.

요즘 핸드폰 판매수당이 30~70만원 정도 되는데, 이 수당의 대부분을 고객에게 주는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휴대폰 매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판매량이 적은 곳은...
cafe.korea-iphone.com
iPhone 13 mini 역시 저렴하게 살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스마트폰을 어디서 구입해야
싸게 살 수 있는지 모르겠다면
가까운 성지부터 알아보시길 추천드려요.
카페 최검사에서 지역별 성지의 시세표, 좌표를
공유하고 있어 어디서 얼마나 싸게 살 수 있는지
한번에 확인 가능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번 포스팅 여기서 마무리해볼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