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아이폰 경기도 K패스 혜택 정리 비교해서 잘 쓰는 방법
기후동행카드 아이폰 경기도 K패스 혜택 정리 비교해서 잘 쓰는 방법
새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해 주는 두 가지 새로운 교통카드를 도입하였습니다.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목표로 하며 기획한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이 이번 주 토요일(27일)부터 시작되었으며, 5월에는 정부가 만든 K패스 사업이 차례로 시작될 예정입니다.
더불어, K패스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알려진 경기도의 더 경기패스와 인천시의 I패스도 함께 출시되었습니다.
카드 종류가 많아 헷갈리실 분들을 위해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의 핵심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서울 지하철·시내버스를 월 6만 2000원에 무제한 이용 가능합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추가하면 월 6만 5000원입니다.
-단, 신분당선 이용은 불가능하며 광역·공항버스, 다른 지역 면허 버스는 이용이 제한됩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19~34세를 위한 청년권(약 5만 8000원)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서울 지하철·시내버스·따릉이 뿐만 아니라, 4월부터는 인천·김포시 광역버스·김포골드라인 경전철까지 이용 가능한 확장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사전판매는 1월 23일부터 시작되었고, 1월 27일부터는 실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는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모바일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이용자는 실물카드를 이용해야 하며, 판매처는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이용자에게 필요한 실물카드는 일반적으로 개찰구 근처 고객안전실(인포메이션) 이나 역사 주변 편의점에서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결제수단은 현금으로만 결제가 되니 반드시 현금 3000원을 챙기셔야 합니다.
최초 구매 후 매달 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며 아이폰과 함께 실물카드 이용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티머니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이 필요합니다.
카드구매 및 충전: 2024.1.23.(화)부터
※ 카드 충전시 충전일로부터 5일 이내 사용개시일 선택 가능(1월 23일 충전 시 1월 27일부터 사용가능. 30일 후 자동만료.)
※ 실물카드 판매처: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1호선은 서울역 ~ 청량리역)/ 9호선·우이신설선·신림선 역사 주변 편의점
판매처 편의점이 정리된 엑셀표 첨부합니다.
K패스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다음 달에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혜택을 가진 교통카드입니다.
-이용범위는 전국* 지하철·시내버스·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광역버스에 해당합니다.
-전국에서 월 15~60회 대중교통을 이용 시 교통비의 20%가 환급됩니다. (19~34세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 환급)
-대중교통으로 월 평균 7만 원을 사용한다면, 일반인은 1만 4000원, 청년(19~39세)은 2만 1000원, 저소득층은 3만 7000원의 환급이 예상됩니다.
-이용 횟수가 61회 이상이면 요금 환급이 되지 않습니다.
-인구 10만 명 이상의 189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일부 지자체(인구 수 10만 명 이하)는 2024년 5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더 경기패스·I패스
K패스와 사용 방식은 동일하며, 경기도민과 인천시민에게 추가 혜택이 제공됩니다.
K패스와 달리 이용 횟수 제한이 없이 무제한 환급이 가능하며, 청년 범위(19~39세)가 더 확장되었습니다.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간 비교 종합 정리표
출처: 국토교통부
어떤 교통카드를 추천드릴까요?
가장 큰 혜택을 받을만한 카드는?
서울 내에서 활동하는 분들:
-월 15~40회 정도 탄다면 K패스!
-45~55회 쯤 탄다면 구간요금을 따져보고 선택하세요.
-60회 이상 탄다면 기후동행카드를 고려해보세요.
서울시민 중 판교 등에서 신분당선·광역버스를 이용하는 분: K패스가 가장 적합합니다.
경기도민 및 인천시민:
더 경기패스, I패스를 고려해보세요.
비수도권 거주자:
전국에 적용되는 K패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용자 예시
국토교통부
∎ A씨(22세) : 서울시 강남구에 거주하며 경기도 소재 대학교로 통학, 주말에는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인천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
⇨ K-패스(청년층)로 매월 대중교통비 30% 환급 (최대 60회)
∎ B씨(50세) : 서울시 노원구에 거주하며 매일 여의도로 출퇴근, 주말에도 서울시 내에서 자주 대중교통 또는 따릉이를 이용 ⇨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이용
∎C씨(39세) :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며 서울로 매일 출·퇴근, 주말에도 활동이 많아 매월 6~70회 대중교통 이용 ⇨ The경기패스로 60회 초과분까지 30% 환급
∎ D씨(65세) : 인천시 연수구에 거주하며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가족·친지들과 자주 만나기 위해 매월 6~70회 대중교통 이용 ⇨ 인천I-패스로 60회 초과분까지 30% 환급
여기까지 기후동행카드 아이폰 경기도 K패스 혜택 정리 비교해서 잘 쓰는 방법 포스팅이었습니다.
비교 내용이 도움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공감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