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아이폰, 갤럭시) 핫스팟 노트북 연결과 비밀번호 설정 사용법
모바일 핫스팟(Mobile Hotspot)은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끌어와 노트북이나 기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모든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스마트폰이 일시적으로 무선공유기, 혹은 라우터가 된다고 이해하면 쉽다.
갤럭시에서도 아이폰에서도, 모두 모바일 핫스팟을 연결할 수 있는데, 주로 노트북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나씩 정리해 봤다. '아이폰 모바일 핫스팟 연결 / 갤럭시 모바일 핫스팟' 그리고 모바일 핫스팟 비밀번호 설정 등 전반적인 사용법을 게재했다.
TMI : 테더링과 비슷한 개념과 사용법이 다르다. 테더링은 기기와 기기간 1:1 연결 방식이며, Hotspot은 '1:다수'다. 1:1로만 연결되는지, 1대 다수로 연결 가능한지의 차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대부분은 테더링이 아닌 Hotspot 기능으로 제공된다.
아이폰 모바일 핫스팟 연결
'설정' 앱을 실행한다. 이어서 '개인용 핫스팟'을 선택한다.
'다른 사람의 연결 허용' 옆 아이콘을 터치하여 아이폰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활성화한다. 마지막으로 바로 아래 위치한 'Wi-Fi 암호' 항목을 터치해 아이폰 모바일 핫스팟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을 적용할 수 있다. 아이폰 모바일 핫스팟 암호는 대소문자, 숫자, 구두점을 활용하여 최소 8자 이상 지정해야 한다.
참고로 비밀번호 변경 시점부터 이전까지 연결되어 있던 기기는 모두 연결 해제되며, 한번 연결한 노트북은 핫스팟 연결을 할 때마다 자동으로 인식한다.
추가로, 제어센터를 내려서 네트워크 탭에서 Hotspot을 더 빠르게 켤 수도 있다.
갤럭시 모바일 핫스팟 사용법
갤럭시 모바일 핫스팟 사용법도 다르지 않다.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순으로 진입한다.
이어서 '모바일 핫스팟' 우측 아이콘을 터치하여 기능을 활성화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핫스팟 ▶ 설정 ▶ 비밀번호 입력' 순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암호는 8자 이상으로 적용해야 하며, 아예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 미 설정 시에는 주변 사람들이 제약 없이 내 데이터를 끌어다 쓸 수 있으니 꼭 비밀번호는 설정하는 걸 추천한다.
상단 바를 내려서 더 빠르게 활성화할 수도 있는데, 필자처럼 Hotspot을 자주 쓴다면 아이콘을 1페이지에 배열해두면 좋다.
또한, 갤럭시 모바일 핫스팟은 내 삼성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다른 기기로 자동 연결이 되도록 실행할 수도 있다. 오른쪽 이미지에 표기한 항목을 활성화해두면 된다.
노트북 핫스팟 연결
아이폰, 갤럭시 모두 모바일 Hotspot을 활성화하면 이제 노트북에서 연결만 하면 된다. 물론 노트북이 아닌 다른 기기(태블릿, 또 다른 스마트폰 등)에서도 연결 방법은 같다. 와이파이 네트워크 목록을 불러오고 조금 기다리자. 그럼 방금 전 활성화한 Hotspot이 리스트에 뜬다. 클릭하고 지정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내 스마트폰의 제공 데이터를 모두 소진했을 때, 공기계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할 때, 노트북으로 와이파이 연결이 어려울 때, 보안에 취약한 카페에서 공유 Wi Fi를 사용하기 찝찝할 때, 다양한 상황에서 모바일 핫스팟을 연결해서 활용해 보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