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캘린더에 네이버 캘린더 연동하는 방법
캘린더 유목민으로 다양하게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캘린더에 정착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성에 잘 맞고 사용하기도 편하더라고요. 그런데 아이패드나 아이폰에서는 캘린더를 사용하기에 편리한데 맥에서 사용하려고 하니까 매번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을 해야 하더라고요. M1 맥이니 혹시나 아이폰 아이패드 앱을 설치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검색을 해보아도 나오지 않더라고요. 그런데 캘린더는 caldav를 지원하더라고요. 그래서 기본 캘린더 앱에다가 캘린더를 연동해서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어떻게 하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에서 꼭 설정해야 할 것!
기본적으로 에서 꼭 설정해 줘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2단계 인증입니다. 의 메인 페이지에 들어가서 ID 부분을 눌러서 들어갑니다. 모바일에서도 가능합니다.
그다음 2단계 인증 관리를 눌러주셔서 꼭 2단계 인증 설정해 주시고요. 오른 편에 보안 설정을 눌러서 들어갑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를 생성해 줘야 하는데요. 캘린더를 동기화하실 분들은 종류에는 아웃룩을 선택하시면 되고요.
그다음 비밀번호 생성을 눌러줍니다. 그럼 영문 대문자와 숫자가 섞여있는 비밀번호가 나오는데요. 복사를 꼭 해서 메모장 같은 데다가 백업해두세요!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설정이 끝났고, 아이폰에서 계정 추가를 진행해 주면 됩니다.
아이폰 캘린더에 캘린더 추가하기ㅇ
아이폰에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로 쭉~ 내려가다 보면 캘린더라는 항목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캘린더와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눌러서 들어갑니다.
의 계정을 추가해 줘야 하니까 계정을 선택해서 들어갑니다. icloud가 있고 저는 MS도 계정이 추가되어있는데요.
그 아래쪽에 계정 추가를 눌러주세요.
여러 항목이 나오지만 가 없기 때문에 기타를 선택해서 들어가야 합니다. 여기에 보면 메일, 연락처, 캘린더가 있는데요.
우리는 캘린더에 있는 calDAV 계정 추가를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이제 입력해야 하는 창이 나오는데요. 서버에다가 caldav.calendar.korea-iphone.com을 입력해 주세요. 그럼 설명은 자동으로 똑같이 채워지게 되고요.
그다음 사용자 이름에는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에는 아까 선 작업으로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를 받아뒀었죠? 영문 대문자와 숫자로 된 것! 그 부분을 입력해 주세요. 그리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만약 여기서 SSL 오류가 난다면 서버, 아이디, 비밀번호 꼭 확인하시고 2단계인 증 가서 다시 비밀번호를 받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캘린더와 미리 알림에 스위치가 켜져 있는 부분이 나오면 저장을 눌러줍니다.
이제 다시 캘린더 계정에 가보면 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요. 눌러서 들어가 보면 아까 설정했던 계정 이름과 캘린더와 미리 알림에 스위치가 켜져 있는 부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캘린더에 가서 다시 확인
아이폰 캘린더에서 일정 등록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캘린더를 선택해서 눌러보세요.
그러니 캘린더에 등록되어 있는 파트들이 나타납니다. 이제 완벽히 캘린더가 연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네요.
기본 캘린더 변경 방법
이제 아이폰 캘린더의 기본 등록되는 캘린더도 변경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아무래도 캘린더가 메인이니까 캘린더가 제일 처음 나타나는 게 좋겠죠. 아이폰 설정 - 캘린더 - 기본 캘린더로 가게 되면 이제 아이폰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캘린더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메인으로 사용하는 캘린더의 한 부분을 선택해뒀습니다. 이제 아주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네요. 그리고 저는 이렇게 아이폰에 등록하면 아이패드와 맥에 모두 연동될 거라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도 그렇지 않아서 아이패드와 맥에도 동일하게 진행을 해줬고, 아이폰에 사용했던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를 그대로 사용해 줬습니다. 그러고 나니 이제 모든 기기에서 동기화가 잘 되더라고요.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저처럼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오늘은 애플 기본 캘린더에 캘린더를 연동하는 방법을 이야기해 드렸는데요.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가능하고 타 캘린더를 사용하는 분들도 기능을 지원만 하면 가능합니다. 다른 캘린더와 기본 캘린더도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연동해서 편리하게 사용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그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