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저전력모드 장단점 및 설정방법
아이폰 저전력모드 장단점 및 설정방법
안녕하세요. 미쓰리의 IT시간입니다.
저는 아이폰 기종이 구형이라 그런지 배터리가 갈수록 더 빨리 닳는 느낌이 들때가 많습니다. 실제로 애플에서 의도적으로 구형 단말기의 성능을 일부로 저하 시킨다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가 중요한데요. 보조배터리를 휴대하지 못하고 장거리 이동을 하거나 충전이 힘들경우 아이폰은 저전력모드로 전환시 배터리를 아낄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저전력모드 설정방법과 장단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전력모드 설정방법
먼저 [설정]앱으로 들어갑니다.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배터리]가 보입니다. 클릭해서 들어가 줍니다.
먼저 [설정]앱으로 들어갑니다.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배터리]가 보입니다. 클릭해서 들어가 줍니다.
2. [저전력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것을 볼수 있습니다. 터치하여 활성화로 전환시켜 줍니다.
제어센터에서 저전력모드
설정 앱에서 찾아서 하는 방법도 있지만 스크롤을 올려 와이파이를 켜고 끄듯이 제어센터에서 배터리 저전력모드를 설정하여 쉽게 켜고
끌수 있습니다.
다시 [설정]앱으로 들어간 뒤 [제어 센터]로 들어갑니다.
다시 [설정]앱으로 들어간 뒤 [제어 센터]로 들어갑니다.
1. 제어센터에는 상단에 제어센터에 포함된 항목과 하단에서 포함할 목록들이 나열되게 되는데 '+'로 추가할수 있습니다. [저전력모드]를 추가 하기만 하면 간단히 제어센터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2. 화면에서 스크롤바를 올리면 제어센터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오른쪽 하단에 추가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간단히 터치만으로도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저전력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저전력 모드 단점?
배터리 성능을 최대한 쥐어짜고 있기 때문에 다른 기능을 당연히 제한적으로 밖에 쓸수가 없겠죠.
특히 아이폰 12, 13 모델의 5G사용이 제한되게 됩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백그라운드 기능, 다운로드, 메일 등
대부분의 기능이 제한적으로 통제되게 됩니다.
하지만 배터리가 없다면 이런기능들도 무소용이니 어느 정도 감수할 사항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때와 장소, 상황에 맞게 저전력모드를 활용하시어 배터리를 관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미쓰리의 IT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