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무음모드 진동 설정 하는 방법

애플에서는 무음모드와 진동을 변경해주는 설정을 버튼 하나로 조절 할 수 있어서 편합니다. 최근에 갤럭시로 넘어 오게 되었는데 이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버튼이 없어서 조금 아쉽긴 하더군요. 상태바를 내리고 터치를 해줘서 바꿔야하지만 아이폰 진동 설정은 무음모드와 함께 버튼을 올리고 내리고를 통해서 바꿀 수 있죠.

뒤로가기가 없는 대신 이러한 편의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설정을 하는 방법과 모드를 바꾸는것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본체의 옆면을 보면 볼륨 조절이 있고 상단에 작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로 내리게 되면 소리가 꺼지게 되구요. 반대로 올려주면 사운드가 켜지면서 알람과 벨소리를 들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초기 모델부터 최근 까지 출시 되고 있는 기기까지 모두 가지고 있는 슬라이드 기능입니다.

내렸을때와 올렸을때 사운드 환경이 변경되는 모습은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측이 내리고 사운드가 꺼진 상태이며 우측은 올리면서 벨소리가 활성화 된 모습입니다.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 어떤 상태인지 체크해볼 수 있죠.

제가 사용하는 xs 기준이지만 14 시리즈나 다른 라인업들도 비슷한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그림 표시와 함께 글씨 안내를 읽으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조절을 하려면 설정 앱에서 사운드 및 햅틱 목록에 들어가면 아이폰 무음모드 및 진동에 관련 된 다양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옆면에 위치한 버튼을 움직였을때 각각 전환되는 햅틱을 수행하는 여부를 체크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잠금 사운드와 키보드 피드백 등 여러가지 소리 관련 된 설정 목록이 나오게 됩니다. 이곳에서 나에게 맞는 시스템으로 맞춰둔다면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벨소리를 켜두었을때는 전화 소리나 알림을 표시하기때문에 소리를 통해서 알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꺼두었을때는 아무런 알림이 들리지 않기 때문에 조용한 환경이 됩니다. 하지만 음악이나 비디오를 볼때는 출력이 되는 상태입니다.

아이폰 진동 설정은 벨소리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탭을 눌러주게 되면 세부 항목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그곳에서는 소리 목록과 함께 진동 관련된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가 되는데요. 상단에 위치해 있는 항목을 찾으면 됩니다.

현재는 기본으로 되어 있지만 하단에는 고속 반복, 스타카토, 심포니 등 컨셉에 맞는 세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각 사용자화를 통해서 프리셋을 만들어 둘 수 있고 내가 듣고 싶은 진동수나 세기 등 편한 컨셉으로 적용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해서 아이폰 무음모드와 진동 설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나에게 맞는 활성화를 해둔다면 편리한 세팅이 될겁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