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5 시리즈 출시, 애플케어플러스(AppleCare+) 가입해야 할까?
IT 전문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두딸램빠입니다.
이제 10일도 안 남은 23년 애플 이벤트, 아이폰 15의 언팩 행사가 한국시간으로 9월 13일 새벽 2시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다가왔어요. 아이폰을 기다려온 애플 찐 유저라면 이번에 대대적으로 변경된 아이폰 15 시리즈의 루머와 기대를 한 번에 해소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데요.
<출처: 애플 공홈>
그와 동시에 실 구매자 입장에서는 애플에서 가입 가능하는 제조사 보험 즉 애플케어 플러스를 가입해야 하나? 아님 통신사에서 진행하는 일반 보험을 가입하는 게 나은가? 하는 고민이 들 때인 거 같아요.
아!! 물론 상남자들은 보험 따윈 필요 없이 당당하게 무보험으로 다니실 수 있겠지만요ㅎㅎ
그래서 오늘은 애플케어 플러스 가입 비용은 얼마인가? 방법 및 혜택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1. AppleCare+ 란?
<출처: 애플 공홈>
쉽게 말해 AppleCare+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보증의 확장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이 서비스는 애플의 제품을 구매할 때 추가적으로 일정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받을 수 있으며, 기본 제품 보증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있죠.
2. 아이폰을 위한 AppleCare+ 주요 혜택은?
아이폰을 위한 AppleCare+의 혜택으로는 다음과 같아요.
<출처: 애플 공홈>
1. 확장된 하드웨어 보증: AppleCare+는 iPhone의 원래의 1년짜리 제한 보증이 만료된 후에도 추가적인 1년을 연장하여 최종적으로 2년 동안 하드웨어 결함에 대한 보호를 계속 제공해요.
2. 전문가로부터의 기술 지원: 전화나 채팅을 통해 애플의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이 지원은 애플의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iOS 및 iCloud와 같은 애플 브랜드 내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포함하고 있죠.
3. 사고 보호: AppleCare+ 계약기간 내에서 우발적인 실수로 인한 손상(예: 액정 화면 파손 또는 물 손상)에 대해 무제한으로 보장을 제공하는 저렴하게 자부담 비용을 지불하면 수리 또는 교체를 받을 수 있어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을 말하자면 일부 국가에서는 도난이나 분실에 대해서 보장을 해주는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
3. AppleCare+ 가입 방법은?
가입 방법은 간단해요.
새로 구입한 아이폰 15 시리즈의 일련번호를 케이스나 휴대폰 내의 지원 앱을 통해서 확인하시고, 애플 스토어나 080-333-4000으로 전화하여 원격 진단을 통해 가입이 가능해요.
1. 애플 스토어 매장에서 가입
2. 080-333-4000 전화 후 원격 가입
여기서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은 한국에는 애플 스토어가 총 5군데만 존재하는데 모두 서울에만 있어요.
"가로수길, 잠실, 여의도, 명동, 강남"
저 같은 지방러의 경우에는 부럽기만 하네요. 하지만 애플사의 입장에서도 인구 밀도에 구입 연령대, 관심도 등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매장을 오픈한 것 이겠지만요ㅎㅎ
4. 아이폰의 가입 비용은?
<출처: 애플 공홈>
AppleCare+의 경우 애플 제품마다 가입 비용이 다른데 현재 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이폰 기준으로 위의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처럼 일반 아이폰 14의 경우 219,000원, 플러스 모델은 259,000원, 프로 맥스 모델의 경우에는 329,000원이 발생하네요.
여기서 " 어? 너무 비싼 거 아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ex: 아이폰 프로 멕스 329,000원
329,000 / 24개월 = 13,708원/월
이를 24개월로 따져 보면 월에 13,708원이란 비용이 나오는데요. 이렇게 나눠서 확인하니 통신사 보험료 약 1만원(고가형)이란 가격과 큰 차이는 없지만 아무래도 일시불로 결제를 해야 하는 점에서 부담이 가는 부분은 사실이네요.
여기서 추가로 말씀드리면 AppleCare+의 경우 중간에 아이폰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개인 간의 양도도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부분 향후 자세하게 포스팅하도록 할게요^^
5. 아이폰 15시리즈 AppleCare+에 꼭 가입해야 할까?
이 부분은 각자의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 어디까지나 제 주관적인 의견에 대하여만 언급해 보도록 할게요.
앞서 언급한 가격이 있으니 아이폰 프로 맥스의 329,000원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아! 물론 아이폰 15시리즈의 공식 가격이 공개되지 않은 시점이니 언급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참고로만 생각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출처: 애플 공홈>
먼저 애플 서포트 홈에서 확인이 가능한 내용인 가장 많이 파손되는 액정 화면에 깨지거나 금이 갈 경우 진행 비용이 599,000원이라고 확인이 되네요;;; 정말 어마 무시한 가격이네요. 여기에 AppleCare+를 가입한 상황이면 40,000원으로 해결이 가능하단 말이죠.
정리하면 내가 100만 원이 넘는 고가의 아이폰을 새로 장만했는데 떨어뜨려서 액정이 금이 간 상상도 하기 싫은 상황이 발생했는데 여기서 AppleCare+를 가입했다!! 그럼 40,000원 해결이 가능한 점이죠. 물론 앞서서 329,000원을 지불했으니 총 369,000원의 비용이 발생한 셈이긴 하지만 말이죠. 그럼 2년간 1번이라도 액정이 파손될 경우만 해도 원래 수리 가격에서 23만 원이나 이득을 본 셈이지만 2번, 3번 수리해야 할 상황이 발생된다면 아끼게 되는 비용은 본전을 뽑고도 남을 상황이네요.
가입 비용(아이폰 pro max 기준): 329,000원
액정 파손 시 수리 비용: 599,000원
자부담금: 40,000원
가입에 따른 부담금 차액: 230,000원
6. 끝맺음
아이폰 15시리즈의 공식 판매가 시작되고 기존 애플 유저가 아닌 갤럭시 유저가 아이폰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을 거라 생각해요. 그럼 고가의 스마트폰을 구매했다는 것인데, 일단 내가 2년간 스마트폰을 고이 모실 수 있는 유저가 아니라면 전 무조건 가입하시는 게 마음 편히 2년간 사용할 수 있어서 이익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선택은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이웃님들과 유저들의 몫이겠지만요.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