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에서 불법 채굴된 광물이 아이폰에

#아이폰 #맥북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변호사 #광산 #반군장악 #불법채굴 #애플부품

이미지=AI Playground

애플의 아이폰과 맥북에 들어가는 부품에 사용된 광물이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반군에 의해 불법으로 채취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애플은 해당 내용을 자체 조사했지만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라고 하는데 무슨 일인지 알아 보자.

사진=AFP/한국경제

"콩고민주공화국 정부가 "애플의 제품이 자국 국민들이 흘린 피로 오염돼 있다"고 주장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지역에서 불법 수출된 광물을 애플이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25일(현지시간) 대리인단을 통해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애플 제품 제조에 투입되는 광물들의 원산지를 철저하게 규명해달라"는 공식 서한을 송부했다. 애플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애플이 콩고민주공화국의 광물을 불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애플은 자체 조사에 착수했고, 최근 "애플의 공급망 업체들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운영 중인 주석(tin), 텅스텐, 탄탈럼 등 광물 제련소가 콩고민주공화국의 무장 단체에 직간접적으로 뒷돈을 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없다"고 공시했디.

하지만 콩고민주공화국 정부 변호사들은 즉각 반발했다. 이들은 "애플의 아이폰, 맥 컴퓨터 및 기타 모든 액세서리가 콩고 국민의 피로 오염돼 있다"고 항변했다. 주석, 텅스텐, 탄탈럼 등은 스마트폰 제조에 필수적인 광물이다. 이들은 해당 광물의 불법 수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작년 9월 콩고민주공화국 정부에 의해 고용됐다.

콩고민주공화국 콜웨지 인근 샤바라 영세 광산에서 한 광부가 광석 자루를 운반하고 있다. 사진=연합AFP/한국경제

콩고민주공화국의 우간다 및 르완다 국경을 따라 이어지는 '콩고 광산 벨트'에는 탄탈럼 등이 추출되는 광석인 콜탄이 세계 최대 규모로 매장돼 있다. 하지만 해당 지역은 현재 정부군과 M23 반군 간의 전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10년간 애플은 분쟁 지역 광물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자사 기기에 재활용 소재의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2014년에는 "장기적으로는 신규 광물을 얻기 위한 채굴을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애플은 최근 발표한 '환경 보고서'에서 "작년에 애플 제품에 사용된 재료의 20% 이상이 재활용 원료에서 나왔다"며 "여기에는 제품에 사용된 텅스텐의 99% 이상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한국경제)

아프리카의 약소국이 변호사까지 동원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 애플에게 호소하지만 애플은 들은 척도 안한다. 아프리카에서 벌어진 내전이 애플 탓은 아니지만 공급망의 하단에 충분히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애플이 '내가 왜? 궂이 이런 일에 참견해야 해?'라는 생각인 모양이다.

2007년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 위키백과

반군에 의해 불법 채굴되어 유통되어 내전에 군자금으로 쓰일 수 있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는 킴벌리 프로세스, 미국 애국법, 유럽연합 규제 등을 통해 인증서가 없으면 유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불법 채굴된 다이아몬드는 내전의 군자금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다이아몬드에 비해 단가가 싸고 흔한 광물까지는 아직 그런 규제 장치가 없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애플에게 킴벌리 프로세스같은 규제를 만들 것을 바라는 모양인데 애플은 재활용 광물을 사용한다다는 핑게로 발을 빼니 여의치 않아 보인다.

* 킴벌리 프로세스: 2003년 설립된 국제 협약으로, 블러드 다이아몬드 거래 방지를 위한 인증 시스템을 운영한다. 참여국은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서가 발급되지 않은 다이아몬드의 수입 및 수출을 금지한다. (구글 제미나이)

"국민들 흘린 피로 오염된 아이폰" 분노…애플은 입 닫았다, 애플, 광물 재활용에 박차

ww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