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5 한국출시일 및 아이폰 15 PRO 어떨까? (ft.최신소식)
안녕하세요. 테크 관련 꿀정보를 알려드리고 있는 블로거 감성 뮤트입니다. 요즘 아이폰15 한국 출시일을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차기 모델은 어떻게 나올 것인지, 특히 PRO 모델의 특징을 위주로 상세히 알려드리려 합니다. 여러분들도 여러 신뢰성 있는 매체의 보도를 하나의 리뷰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벌써 iphone 14 시리즈가 출시된 지 8개월이 지났다. 필자는 14 시리즈도 각 모델별로 구입을 했고, 이전 시리즈도 마찬가지일 정도로 애플 기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iPhone 4부터 지금까지 모든 시리즈를 다 구입해왔을 정도다.
그리고 이제는 더 나아가, 차기 모델에 대한 루머가 매우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번 리뷰에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소식들 중 신뢰할 수 있는 매체의 보도를 위주로 설명해드리려 한다. 물론 루머이기 때문에 정확한 팩트라 보긴 어렵지만, 가능성이 높은 것을 위주로만 리뷰해보려 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필자가 아이폰 15 PRO 및 일반모델에 대해 참고한 자료는 애널리스트 및 팁스터는 마크 거먼, 로스영, 궈밍치. 그리고 매체로는 4RMD, 테크니조컨셉, 맥루머스, 오카타라맥, 애플인사이더 등이다. 나름대로 적중률이 높은 곳을 위주로만 살펴보았다.
1. 전 모델 다이나믹 아일랜드
출처 : Matt Talks
일단 기본적인 컨셉은 유지되겠지만 현재 들려오는 소식에 따르면 기능을 위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로 일반, 플러스 모델의 다이나믹 아일랜드 탑재다. 지난 iPhone 14 시리즈는 프로 모델로 판매량이 확 기울었는데, 일반 라인업은 노치가 유지됐기 때문이다.
이렇게 14 일반 모델이나 13 시리즈 이전에는 (X 이후) 모두 M자 형태의 노치가 탑재되었다. 이는 트루뎁스 카메라로 인해 부득이한 조치였는데, 이 부분을 다이나믹 아일랜드(반응형 펀치홀 디스플레이)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AOD는 여전히 일반 모델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다이나믹 아일랜드는 부분적으로 단점도 존재한다. UI/UX가 창의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오히려 세로 라이브(숏폼)을 볼 때는 자막을 가리거나 일부 화면을 가리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은 편이다. 알약 사이즈의 펀치홀이 더 줄어들지 않는 이상 호불호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자세한 것은 아이폰15 PRO 한국출시일이 돼야 알 수 있다.
출처 : Matt Talks
때문에 애플 입장에서도 판매량에서는 오히려 부진을 겪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차기 모델에서는 전 기종에 다이나믹 아일랜드가 탑재되어 노치는 완전히 없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후면의 카메라는 여전히 일반급은 듀얼, 프로급은 트리플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단 카툭튀는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한다.
출처 : Matt Talks
한편 모델의 경우, 기존과 외관은 거의 동일할 수 있는데 루머에 따르면 다크 레드 색상이 메인 컬러라고 한다. 물론 iPhone 시리즈의 색상은 여러 매체에서도 대부분 적중을 한 적이 많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컨셉샷에 가깝지 않을까 예상된다.
2. USB - C타입 탑재?
출처 : Matt Talks
EU에서 24년부터 모든 테크 기기의 충전 규격을 USB Type-C로 통일하라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유예기간이 존재하긴 하지만, 시행은 24년부터. 즉 iPhone 신형에 8핀 라이트닝이 유지된다면 판매를 하다가 시장 철수를 해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기 모델은 포트 변경이 상당히 유력해보인다.
출처 : Matt Talks
그러나 한편으로는 100%라고 보기는 어렵다. 애플 입장에서는 라이트닝을 통해 얻는 수익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애플은 라이트닝이라는 독자 규격을 통해 일부 기업에 한하여(벨킨, 초텍 등) MFi 인증을 해주고 있다. 이 라이트닝 포트에 대한 로열티 수익이 상당히 큰데, C타입으로 바뀌면 이를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출처 : Matt Talks
이 때문에 혹자들은 과연 애플이 미리 이를 포기할까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도 있다. EU에서 유예기간이 끝날 때까지는 버티다가 바꿀 가능성, 즉 iPhone 16에서 바뀔 수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전송 속도를 비롯해 애플은 차기 모델부터 바꾸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본다.
3. 주요 스펙은?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3nm 공정의 새로운 칩셋을 비롯해 몇 가지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사양은 아이폰 15 PRO 모델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jd
- [jd
A17 Bionic 칩 탑재
- [jd
A17 Bionic 칩 탑재
A17 Bionic 칩 탑재
- [jd
2500니트 OLED 디스플레이
2500니트 OLED 디스플레이
- [jd
WiFi 6E 탑재
WiFi 6E 탑재
- [jd
매크로 버튼(동작버튼) 추가 및 음소거 버튼 제거
매크로 버튼(동작버튼) 추가 및 음소거 버튼 제거
- [jd
주변 카메라 시스템
주변 카메라 시스템
- [jd
울트라 모델은 가능성이 반반임.
울트라 모델은 가능성이 반반임.
일단 A17 바이오닉 칩은 이전 칩과 비교했을 때 점수의 개선이 꽤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A16 바이오닉칩이 싱글코어 1900점, 멀티코어 5500점 내외를 기록하는데, 예상되는 점수(Geekbench5 스코어 기준) 싱글 2300점, 멀티 6500점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작과 달리 3nm 공정으로 더 짧아진 회로를 보이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 회로 간 이동 구간이 짧아져 실제 사용 시 체감은 꽤나 크게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뛰어난 칩이지만, 게이밍이나 고사양 앱에서 더 특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카메라에 대한 변화도 예상된다. 프로맥스 모델에 한하여 잠망경 렌즈가 탑재될 수 있다고 한다. 기존 망원 카메라는 강제적인 확대(소프트웨어를 통한)가 돼서 크롭 형태로 이루어져, 줌이 될수록 해상도가 떨어졌다. 하지만 잠망경은 빛의 굴절을 이용해 노이즈나 화질 저하가 최소화되어 망원에서 좋은 컨디션을 보인다.
4. 아이폰15 한국출시일, 가격은?
차기 모델의 경우 현재 모델과 동결된 가격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일반 125만원대, 플러스 135만원대, 프로 PRO 155만원대, 맥스 175만원대. 그리고 울트라 모델까지 나오게 된다면 약 190만원대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울트라는 현재 가능성이 낮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한국 출시일은 몇 차 국가에 포함되느냐가 관건이다. iPhone의 경우 대체로 2-3차 내외로 나왔는데, 국내 시장을 갈수록 중요하게 보고 있는 상황인 만큼 1.5-2.5차 사이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아이폰 15 한국 출시일은 9월 키노트 이후 10월중순, 말 정도로 예상이 된다. 더 구체적인 소식이 있으면 피드백을 해드리도록 하겠다.
끝으로 차기 모델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굳이 신형을 기다릴 필요없이, 할인이 가능한 14 시리즈를 구입해도 괜찮을 것 같다. 현재 아래 링크에선 14 모델 할인 프로모션이 진행되고 있어서 비교적 저렴하게 (모델에 따라 최대 30만원 할인) 구할 수 있으므로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바란다. 특히 프로 라인업은 14만으로도 충분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