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NFC 유심 카드 사용해야할까? 갤럭시 교통카드 차이
한국은 늦었지만 2023년부터 애플페이를 이용해서 편한 모바일 결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의 경우 오래전부터 이용을 했지만, 애플도 지원을 하면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장에서 삼성과 2강 체제를 유지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의외로 많은 사용자 때문에 애플페이를 지원한 현대카드의 신규회원수도 한때는 국내 1위까지 올라갔습니다.
삼성페이 vs 애플페이
국내에서는 핸드폰 기종에 따라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두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기에 따라 결제 방식 차이도 있습니다. 애플페이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해당하는 NFC를 이용을 합니다.
MST 장점
반면 삼성페이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망도 지원을 하지만 많이 활용되는 게 MST(마그네틱 보안 전송) 방식에 해당합니다. 애플페이는 결제 사용처가 한정적인 것에 비해서 삼성페이는 국내에서 거의 모든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 MST 방식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통카드 업데이트
애플페이 역시 조만간 국내에서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삼성페이의 경우 티머니를 통해서 이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태그만 하면 되기 때문에 결제와 교통카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NFC 유심
갤럭시 교통카드 기능은 NFC 유심 방식을 이용합니다.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는데, 내부 모듈이 아닌 NFC 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NFC 유심 카드를 활용해야 합니다.
아이폰 일반 유심
같은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는 애플페이의 경우는 다릅니다. 아이폰의 경우 내부 NFC 모듈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해서 모바일 결제와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을 합니다. 때문에 아이폰 NFC 유심 카드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습니다. 갤럭시와 차이에 해당하는데요.
유심 카드의 경우 NFC 기능 여부에 따라 가격이 다릅니다. 보통 유심 카드 종류를 구분하면 사이즈에 따라 미니, 나노, 마이크로로 구분을 하는데요. 요즘 핸드폰의 경우 모두 나노 사이즈가 기본입니다.
SIM 카드 가격
여기에 Near Field Communication이라 불리는 근거리 통신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면 가격이 더 비쌉니다. NFC 유심 카드는 통신사에서 7700 원에 해당하는데요. 해당 기능이 없는 일반 SIM 카드라면 5000원대에 해당합니다.
갤럭시 유저라면 교통카드 기능을 위해서 심 카드의 NFC를 이용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망 기능이 탑재된 SIM을 구입하는 게 맞습니다.
애플 유저라면 단말기 자체에 탑재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망 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애플페이 또는 추후 업데이트될 교통카드 기능을 위해서 아이폰 NFC 유심을 구입할 필요 없이 일반 SIM을 사용해도 된다는 점도 기본 상식으로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애플 단말기의 Near Field Communication 동작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통해서 추가 확인해 보세요.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경우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서 엔에프씨를 켜기 끄기 설정을 지원을 합니다. 한국 애플...
blog.korea-ipho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