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또는 갤럭시에 eSIM 과 유심을 같이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아이폰 또는 갤럭시에 유심과 eSIM을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을 알아두면 고생을 덜 할 겁니다.
- [jd
- [jd
자급제 아이폰 또는 갤럭시라면 반드시 IMEI 를 사전 등록해야 합니다.
- [jd
자급제 아이폰 또는 갤럭시라면 반드시 IMEI 를 사전 등록해야 합니다.
자급제 아이폰 또는 갤럭시라면 반드시 IMEI 를 사전 등록해야 합니다.
- [jd
아이폰과 갤럭시에는 2개의 IMEI 가 있습니다.
아이폰과 갤럭시에는 2개의 IMEI 가 있습니다.
- [jd
1번 IMEI 에는 유심을
1번 IMEI 에는 유심을
- [jd
2번 IMEI 에는 eSIM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 발생 소지를 줄여 줍니다.
2번 IMEI 에는 eSIM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 발생 소지를 줄여 줍니다.
먼저 IMEI 를 사전 등록하려면 아래 사이트에서 등록하면 됩니다.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
www.imei.kr
화면에 표시되는대로 등록을 완료하면, 모든 통신사, 알뜰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유심과 eSIM을 모두 사용하는 듀얼 유심을 사용할 때에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동일 명의로 개통된 유심과 eSIM을 사용하게 정통부에게 고지했기 때문이구요.
아이폰과 갤럭시에 있는 2개의 IMEI를 모두 등록한 이후에는 먼저 유심을 아이폰/갤럭시에 넣고 활성화 시킵니다.
그러면 IMEI 1번에 유심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eSIM을 개통하여 활성화 하면 eSIM이 IMEI 2 번에 들어가게 됩니다.
왜 이렇게 해야 하냐면, 통신사들이 2번 IMEI에 eSIM을 넣고 사용하게 만들었기 떄문이구요.
당분간은 통신사 전산이 외국 처럼 바뀌기 전 까지는 어쩔 수 없이 이런 방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KT eSIM을 2번 IMEI 에, 프리티 SKT 유심을 1번 IMEI 에 할당되게 해서 사용 중입니다.
이미 eSIM을 먼저 개통하여 IMEI 1번에 들어가게 한 후에 알뜰폰 유심을 넣으면 제대로 활성화가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eSIM을 삭제 한 후에 유심을 넣고 재부팅하여 유심이 IMEI 1번에 자리 잡히게 하고 그 이후에 다시 eSIM 다운로드를 받아 활성화하여 IMEI 2번에 eSIM이 들어가게 해야 합니다.
다들 잘 사용한다는 듀얼 유심인데, 나만 왜 안되나 싶은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런 내용도 확인해 보세요.
이런 문제가 생긴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에서 IMEI 를 모두 등록하게 하는 정책 때문에 발생했구요.;
그 다음으로는 통신사에서 2022년 9월 1일부터 한국에서도 eSIM이 도입되는데도 전산 개편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 대충대충 한 티가 여기서 나는 겁니다.
eSIM이 IMEI 1번이든 2번이든 하등에 문제가 없어야 하는데, 이상하게도 문제가 생깁니다.
따라서, 해외 여행을 가서 해당 국가의 여행자용 eSIM이나 유심을 사용한 경우에도 한국에 다시 돌아와서는 원래대로 IMEI 순서대로 활성화를 시켜야 합니다.
즉, 절대 eSIM을 먼저 활성화 하면 안됩니다.
eSIM을 잠시 OFF 상태로 설정에서 해 놓는 겁니다. OFF 상태이지 삭제가 아닙니다.
그런 후에 유심만 넣고 아이폰/갤럭시를 재부팅 합니다.
정상적으로 유심이 서비스 상태가 되면, 이번에는 eSIM을 ON 합니다. 즉 원래 eSIM을 활성화 합니다.
그런 후에 다시 아이폰/갤럭시를 재부팅 합니다.
이렇게 하면 유심은 1번, eSIM은 2번에 원래대로 IMEI를 사용하게 됩니다.
만일 순서가 뒤바끼면 어떻게 될 까요?
유심과 eSIM이 원래 사용하던 IMEI 가 아닌 다른 IMEI에 활성화가 되면, 통신사 전산에서는 기변이 되었다고 인식하게 되어서 문제가 생깁니다.
즉, 처음에 개통을 할 때의 IMEI 순서대로 다시 활성화를 해야만 통신사 전산에서 그대로 인식하고 별다른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외국에서는 유심과 eSIM이 어떠한 제약 없이, 등록 없이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사전에 IMEI 2개를 모두 등록한 이후에 eSIM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사전 등록을 하고 개통을 할 떄에 통신사에 등록된 IMEI가 전산에 입력되어 그걸로 활성화하는 겁니다.
IMEI 순서가 뒤바뀌면 통신사 전산에서는 등록된 IMEI 와 다르기 떄문에 기변이라고 처리를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구요.
eSIM이 한국에 정식으로 도입된 이후에 해외 출장, 단기 해외 여행을 다녀왔던 분들이 eSIM 때문에 개고생을 했던 문제가 바로 이전에 사용하던 IMEI 와 다른 것 때문이었구요.
다시 정리하자면, 자급제 아이폰 또는 자급제 갤럭시를 구입했다면, IMEI 사전 등록 사이트에서 등록을 한 후에 유심을 먼저 넣고 eSIM을 넣는 방법으로 활성화 해서 사용하면 별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리고 미국산 아이폰을 직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IMEI 1번에 등록한 eSIM 과 IMEI 2번에 등록한 eSIM을 잘 메모해 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활성화 할 때에도 순서대로 활성화를 해야만 문제가 없습니다.
간혹 동일 명의로 개통한 eSIM 를 먼저 아이폰에 넣고, 나중에 알뜰폰에 개통하여 유심을 넣었더니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
한동안은 eSIM을 IMEI 1 번에 넣을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요.
나중에 유심을 넣고 문제 없이 사용하려면, 유심이 1번, eSIM이 2번으로 자리 잡도록 해 두세요.
그리고 유심과 eSIM의 명의가 다르면 이렇게 나옵니다.
즉, 동일 명의로 개통한 유심과 eSIM을 사용해야만 2개의 통신 서비스를 한 대의 아이폰 또는 갤럭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당히 귀찮은 조건을 제시하면서 eSIM을 허용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아이폰, #갤럭시, #듀얼유심, #eSIM, #유심다운로드, #IMEI사전등록,
아이폰, 갤럭시, 듀얼유심, eSIM, 유심다운로드, IMEI사전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