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E-아이폰-LX세미콘
BOE의 올해 애플 아이폰15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량이 '제로'(0)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BOE는 8월부터 아이폰15 OLED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아직 불확실하다. BOE가 납...
www.thelec.kr
기존 아이폰 OLED 패널 공급망은
삼성전자 - 약 60~65%
삼성전자 - 약 60~65%
LGD - 약 30%
LGD - 약 30%
BOE - 약 5~10%
BOE - 약 5~10%
이렇게 3회사였다.
지금 아이폰 15에서는 BOE가 패널 빛셈현상을 아직도 해결하지 못했고,
이에따라 아이폰 15 공급망에서 빠질것이란 기사의 내용이다.
결론적으로 아이폰15의 패널 공급업체는
1. SDC : 약 75%
2. LGD : 약 25%
정도로 납품이 될것이란 기사의 내용이다.
기사의 내용을 LX세미콘 입장에서 해석해보면
기존에 아이폰향 DDI물량을 생각해보면
SDC - 약 60~65% => 삼성LSI의 DDI 탑재
SDC - 약 60~65% => 삼성LSI의 DDI 탑재
LGD - 약 30% => LX세미콘 DDI 탑재
LGD - 약 30% => LX세미콘 DDI 탑재
BOE - 약 5~10% => LX세미콘 DDI 탑재
BOE - 약 5~10% => LX세미콘 DDI 탑재
아이폰내 LX세미콘 DDI 점유율 약 35~40%
아이폰15향 DDI 물량(기사의 예측 수량대로 보면)
1. SDC : 약 75% => 삼성LSI의 DDI 탑재
2. LGD : 약 25% => LX세미콘 DDI 탑재
아이폰내 LX세미콘 DDI 점유율 약 25%
위와 같은 결론이 나온다.
LX세미콘은 아이폰향 DDI 매출비중이 매우 높다.
아이폰 14때는 LGD가 LTPO 공정에서 문제가 생겨 초도물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서 실적이 부진했다.
아이폰 15에서는 이제 BOE가 빛셈현상 문제해결을 못해서 문제가 될것이란
내용의 기사이다.
기사의 내용대로 진행된다면 LX세미콘의 3분기, 4분기 실적도 큰 기대를 하긴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