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1 pro 액정 & 배터리 (성능100%표시) 교체 7th May 2023 iPhone 11 pro screen & battery replacement
안녕녕하세요 오늘은 11 pro 액정과 배터리 ("알 수 없는 부품" 문구제거) 교체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액정은 정상 작동하나 왼쪽 하단을 보시면 손상을 입은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폰 X 시리즈 이상 모델부터는 액정과 배터리, 후면카메라를 별도의 작업없이 사설업체나 자가수리로 교환하게되면
아래 그림같은 팝업창이 뜨게됩니다.
쓰시는데 기능적 이상은 전혀없으시더라도 이런 문구가 뜨면 중고로 되판매하시거나 쓰시던 제품을 다른분께
선물로 드리거나할때 조금 꺼림직한것은 사실입니다.
저런 문구는 전원을 껐다가 켜지 않는이상 한번 팝업창을 지우면 화면잠금창 다시 나타나지는 않지만) 잠금화면 창에 4일간 설정창에는 15일간 지속해서 나타납니다. 그후 이후 설정의 디스플레이 페이지 창에는 영영 "알 수 없는 부품이라고" 남게됩니다.
리페어데이트에서는 배터리까지는 이런 "알 수 없는 부품" 메세지를 제거해드릴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와 카메라는 제거해드릴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에 IC칩을 하나 옮겨야하는데 이것이 잘 옮긴다고해도 어떤 디스플레이는 호환이 되는경우도 있고
안되는 경우도있고 변수와 위험부담을 따지면 안하는것이 낫다는 결론이고 거의 모든 사설업체에서는 이를 사전에 손님들께 설명하지 않고 액정교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만약 설명해드린다해도 저 문구까지 지우면서 작업하는 사설업체는한국에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야기가 길어졌네요 액정교체와 배터리교체 시작해보겠습니다.
설정창에서 배터리로 가서 배터리 효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현재 최대 효율은 76%이고 위에 배터리상태가 매우 저하되었다고 교환받으라고 문구가 뜨네요.
보통 효율이 80%이하면 교체를 권장해드립니다. 그러나 사용하는데 불편없으시면 배터리가 부풀어서
액정을 밀어올리지 않는이상 계속 쓰셔도 되긴합니다. 어떤 분들은 아이폰을 한 6~7년 넘게 배터리 교체없이 쓰신분도
가끔 뵙기는 합니다.
작업을위해 전원을 꺼줍니다.
핸드폰 하단부의 별나사 2개를 제거해 주겠습니다.
아이폰 뒷부분에 히트건으로 열을 가해줍니다. 이는 본체의 테두리에 둘러있는 방수테잎을 느슨하게 해주기위함이고
아이폰을 뒤집어서 하는이유는 열이 과하게 액정에 가해지면 액정이 누렇게변하면서 번인현상이 나타납니다.
오프너를 하단부에 밀어넣고 특수알코올을 도포합니다. 알코올 역시 방수테잎을 녹이기 위함입니다.
지렛대 원리로 오프너를 살짝 눌러주고 그 틈으로 빠르게 피크 하나를 밀어넣습니다.
저 피크하나만 밀어넣으면 거의 90%는 액정분리에 성공하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른한손으로 피크를 하나 더 밀어넣고 그것으로 양옆을 조심해서 밀어줍니다.
이렇게 개방이 완료됩니다.
이 아이폰은 충격이 심하지 않았고 거의 확실시 액정과 이어스피커가 작동될거라 예상되기에 중간 테스트들을
생략하고 바로 트루톤작업과(자동밝기조절) 이어스피커 이식작업을 진행해줍니다.
액정과 배터리 커넥터커버들을 제거해줍니다.
스퍼저나 손톱으로 본체에서 커넥터들을 조심히 분리합니다.
분리된 본체와 액정모습입니다.
이어스피커 상단 나사를 제거합니다.
새로운 액정으로 이식해줍니다 .
트루톤 프로그래머에 기존 액정을 연결시키고 기존 데이터값을 읽어줍니다.
새 액정을 프로그래머에 연결하고 읽어온 값을 써줍니다.
배터리 제거를위해 다시 뒤쪽에 열을 가해줍니다.
(리페어데이트에서는 액정과 배터리를 동시에 교체하시면 좋은 가격할인이나 다른 악세사리들을 무료로 드리고 있으니
많이 문의 부탁드립니다. 작업자가 배터리 교체를 위해서는 어차피 액정을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에 손님이 액정과 배터리교체까지 하신다하시면 작업자 입장에선 들어가는 시간이나 노력을따지면 할인을 해드려도 되기때문입니다.)
특수 알코올과 스퍼저등을 이용해 배터리를 분리시킵니다.
배터리 분리된 모습입니다.
핸드폰을 오래쓰게되면 Taptic Engine이라는 진동모듈 나사들이 느슨해저서 진동음이 이상하게 나는데 저 부분은 꼭
한번씩 조여주고 다른 나사들도 모두 한번씩 점검해줍니다.
분리한 배터리를 flex 케이블에 연결해줍니다. 이 케이블이 없으면 BMS보드와 메인보드가 통신을 못하게됩니다.
배터리 기능 복원 프로그래머에 연결시켜 값을 초기화시킵니다.
(여기서도 BMS 보드가 애초에 손상되어있으면 초기화가 안되기에 배터리 문구없에는 작업이 불가능해집니다. )
기존 배터리에서 BMS 양,음극 선들을 끄집어내줍니다.
이 작업만 거의 10분이 걸리는것같습니다. 생각보다 잘 안떨어집니다 ㅠㅠ
쇼트 나지않게 세라믹 가위로 절단해줍니다.
BMS보드와 BMS가없는 배터리 셀입니다.
저 배터리 위의 은색 선들 2개위로 BMS배터리를 스팟용접 해줍니다.
조금이라도 용접을 잘하기위해 현미경을보면서 작업합니다.
꼼꼼히 최소 10번이상 용접해줍니다.
그런후에 용접이 잘됬는지 이제 테스트를 해보면
이렇게 100%라고 기능을 확인하실 수 있게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